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틴 타이탄 GO!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여담 == [[파일:attachment/틴 타이탄 GO!/Game.jpg|width=500]] 사진에 나온 캐릭터는 [[브레이니악]], [[원더우먼]], [[슈퍼맨]], [[마샨 맨헌터]], [[배트맨]]. 원작과는 다르게 [[패러디]]가 상당히 많은데, 심심하면 나오는 [[배트맨]]은 물론이고[* 원작에서는 로빈이 "난 이미 [[배트맨|아버지]]가 있다."라고 말하며 [[박쥐]]로 페이드아웃 되는 정도의 언급밖에 없었다.] [[아쿠아맨]], [[슈퍼맨]] 등 기존 [[DC 코믹스|DC]] 히어로들을 이용한 개그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. 배트맨 대 슈퍼맨의 명대사인 Save Marth가 등장하니 말 다한 셈. [[닌자 거북이]][* 닌자거북이들의 아이덴티티가 피자먹기인데 타이탄이 피자먹는거랑 겹쳐서 충돌했다. 참고로 틴 타이탄은 방사능을 먹고 거북이 돌연변이가 됐다가 죽을 뻔했다.]나 [[덕테일즈]][* [[스크루지 맥덕|세계 최고의 부자오리]]가 언급됐다.]나 [[마리오(마리오 시리즈)|마리오]],[[포켓몬스터]],[[뽀빠이]],[[스쿠비두]] 등 다른 작품 패러디도 빈번하고 심지어는 [[미국]]의 위인들인 [[벤저민 프랭클린]]과 [[조지 워싱턴]]마저 출연했다! 심지어 시즌 3 36화에서는 [[버스터 소드]]마저 등장했다. 아예 옆동내 캐릭터인 [[스파이더맨]]을 패러디한 에피소드도 존재한다. 비스트 보이가 [[루시(영화)|루시]]를 통째로 패러디 한 미친 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rl-6IoH2os|에피소드]]도 존재한다. 워낙 리버럴한 분위기의 미국 카툰계이다 보니 마일드한 동성애 묘사가 가끔씩 등장한다. 큐피드의 화살을 맞은 남성 멤버 셋이 느끼하게 포옹한 적도 있으며, 시즌 4 ep 13 "BBRAE: PT 2(사랑의 선물: 2부)"에서는 여성 커플 역시 배경으로 등장한다. 심지어 전자의 경우 대놓고 [[프라이드 플래그|무지개]]가 나왔다. 개그성이 워낙 부각되어 캐릭터들이 원작과는 동떨어진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(특히 '''로빈'''). 그림체도 각자 개성이 확실히 드러나게 변화했는데 때문에 원작 팬들이 적응하기 힘든 모양.[* 반대로 틴 타이탄 고로써 유입된 일부 팬들은 일본 에니메이션 그림체에 가까운 원작보다 카툰풍인 TTG의 그림체를 선호하기도 한다.] 하지만 개별적인 작품임을 감안하면 심각한 수준의 변형은 아니다. 오해가 있을 수 있는 부분으로, [[옴니버스]] 형식이라 매번 바뀌는 설정들이 많다. 가장 대표적인 예는 사이보그의 과거. 어떤 에피소드서는 어렸을 때 사람이었다고 나오다가 또 다른 에피소드에서는 어렸을 때부터 반인간 반로봇이었다고 나온다든지 하는 등. 개그 요소로 쓰기 위해 다른 에피소드에도 등장하는 설정들[* 로빈 DNA와 합쳐진 새(일명 '슈퍼 로빈')나 사이보그의 전선 몸통 등.]도 있지만 깊이 생각하지 않는 게 좋다. 물론 예외 역시 존재한다. 2부 이상으로 이루어진 에피소드는 물론이고, 시즌 1 ep 40 "Be Mine" 에피소드는 시즌 1 ep 21 "Terra-ized"와 이어지거나 하는 등. 원작 스토리도 거의 신경 쓰지 않는 편이라 [[테라(DC 코믹스)|테라]]는 처음부터 악역으로 등장했다. 원작을 본 시청자라면 원작의 [[오마주]]가 이곳저곳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아챌 수 있다. 시즌 1 ep 25 "Colors of Raven" 에피소드의 레이븐들은 원작의 시즌 1 6화 'Nevermore'에 등장한 레이븐들을 따온 것이다. 시즌 3 ep 9 "The Fourth Wall(TV에 내가 나온다면)"에서는 틴 타이탄 멤버들이 자신의 전생의 모습을 보기도 한다. 시즌 3의 오프닝에서는 로빈이 [[말춤]]을, 사이보그가 [[저질댄스]]를 춘다. ||[youtube(6Fm9gMreH7k)]||[youtube(LkLL3NRbA3w)]|| 노래를 이용한 연출이 매우 많다. 1분 이내의 짧은 삽입곡이 매 시즌마다 여럿 등장하는데 이 중 몇몇은 꽤나 퀄리티가 좋아 팬들에게 자주 회자된다. 특히 The Night Begins to Shine이 대표적. 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--1IGJyDUo|비스트 보이]]와 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CmaMoWh2i0&list=PLAxbcHOrSTu2nZJ3idbI82ibbj5W40md4&index=10|사이]]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Da4E3zmVZK8|보그]]는 음악에 재능이 있는 걸로 묘사되고 특히 자주 노래를 부른다. [[https://youtu.be/DKZYVwr_7wU?t=45s|스타파이어]]는 성우가 스타파이어의 목소리 톤으로 노래를 잘 소화해서인지 그다음으로 자주 부르고 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ui8k152yak&list=PLAxbcHOrSTu2nZJ3idbI82ibbj5W40md4&index=25|레이븐]]과 [[https://youtu.be/gCY-Npnh0FY?t=2m30s|로]]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4niDZeo3Eo|빈]]은 거의 안 부른다.[* 로빈의 경우 레이븐보다는 자주 부르긴 하지만 단독으로 부르는 경우가 드물다.] 대신 둘은 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eM7f4XxgNX4|춤을 추는 장면이]]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2Y4O3h8Jrs|자주 나오는 편.]] 레이븐 경우는 댄서가 꿈으로 나오기도 한다. 최근 에피소드에는 레전드 힙합 트리오 [[De La Soul]]이 몸소 출연하기도 했다. 작품 내에서 그림체가 자주 바뀌는 편으로, 본편은 플래시 애니메이션이지만 간혹 등장하는 삽입 장면에서는 수작업 애니메이션이 사용되는 경우도 간혹 있다. 시즌 4의 에피소드 "Classic Titans"에서는 1968년에 [[필메이션]]에서 제작해 방영되었던 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oP1ve5JTlC8|클래식 틴 타이탄의 그림체를 그대로 재현하였고]][* 참고로 당시 필메이션은 [[히맨]]으로 히트하기 전까지는 틴 타이탄 외에 배트맨,슈퍼맨 같은 DC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바 있다.], 컨트롤 프릭 에피소드에서는 [[https://youtu.be/VYRioNDo0Cg?t=104|'더 엉뚱발랄한' 그림체가 필요하다는 로빈의 말에]] [[칼아츠 스타일|모든 캐릭터들이 둥글둥글한 생김새의 파스텔 톤 디자인으로 변했다]]. Night Begins to Shine 시리즈와 [[어드벤처 타임]]을 의식한 판타지 세팅은 복수의 에피소드에서 재활용되었다. 그리고 스폰지밥처럼 실사 장면이 가끔 등장한다. 극장판에서도 이런 연출이 쓰인다. 최근 에피소드에서는 [[위플래시]]를 통째로 패러디했다. 위플래시 말고도 다양한 영화 패러디가 많은데 그중 스타워즈 패러디는 두 번이나 등장했다. 60년대 배트맨 무비를 패러디한 에피소드도 존재.[[https://youtu.be/5CjlPickBMw|#]] 심지어 마피아 영화 [[좋은 친구들]]도 패러디 했다...[[https://youtu.be/ioKGV19L7QQ|#]] 이후에는 [[대부 2]], [[아이리쉬맨]], [[디파티드]]같은 굵직한 마피여 영화들을 통째로 패러디한 마피아 영화 패러디 에피소드를 방영하기도 했다. 2020년 할로윈에는 [[비틀쥬스]]를 통째로 패러디 하기도 했다. 어째 성인만 이해 가능한 패러디가 자주 나오는데 [[매튜 매커너히]]의 [[링컨 MKC]]광고같은 성인이 공감대를 가진 패러디가 자주 나온다. 이후에도 소재가 떨어졌는지 [[아놀드 슈워제네거]], [[톰 크루즈]]헌정 에피소드가 만들어지기도 했다. 타 애니와의 콜라보도 자주 진행하며 [[스쿠비 두]], [[파워퍼프걸 리부트]], [[썬더캣츠]], [[DC 슈퍼히어로 걸즈]],[[스페이스 잼]]과 콜라보를 진행했다. 그중 최강 콜라보는 단연 2003년판 원작과의 콜라보 극장판.[* 툰 타이탄 에피소드에선 TV에 [[검볼(애니메이션)|검볼]]로 추측되는 에니메이션이 나왔다.] [[르브론 제임스]]같은 유명인도 워너브라더스의 힘인지 가끔씩 출연한다. 2023년 워너 브라더스 100주년 기념 특집에서 워너 산하 애니 및 일부 영화, 드라마[* 그렘린, 프렌즈가 중요 설정으로 등장.]도 총출동하는 그야말로 엄청난 스케일의 콜라보를 자랑했다. [[Work at a Pizza Place]] 에서 스폰서쉽 이벤트를 하였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